가자공부하러!

신기술 동향(1) - 데이터 통신, 인터넷 본문

공부/정보처리기사(실기)

신기술 동향(1) - 데이터 통신, 인터넷

오피스엑소더스 2019. 6. 7. 18:38


1. 데이터 통신

2. 인터넷

3. 모바일 컴퓨팅

4. 기타 신기술 동향


1. 데이터 통신


1.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 통신망)

  > VPN은 가상 사설 네트워크로서 인터넷 등 통신 사업자의 공증 네트워크를 사용자가 마치 자신의 전용 회선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기존 방식은 통신 사업자에게 전용 회선을 임대하여 원격지까지 연결함으로써 사설망을 확대하였으나, 이 형태의 문제점은 막대한 초기 비용, 고가의 통신 요금, 유지 보수의 어려움 등이 따른다는 것이다. 하니만 VPN은 인터넷망을 전용선의 사설망을 구축하는 것처럼 이용하므로 원격지의 지사, 영업소, 이동 근무자는 지역적인 제한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 무선랜(WLAN; Wireless LAN)

  > WLAN은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무선 주파수(RF)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WLAN 카드가 장착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개발 초기인 1980년대 말에는 일반화되지 못하다 메시 네트워크 개발로 인한 이동성의 확보와 54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차세대 WLAN 표준인 802.11n 규격이 상용화되면서 최근에는 유선을 뛰어넘는 인프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3.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고속의 데이터를 각 반송파가 직교 관계에 있는 다수의 부반송파에 나누어 실어 다중 전송하는 디지털 변조 방식이다. 보통의 주파수 분할 다중에 비해 더 많은 반송파의 다중이 가능하므로 주파수 이용 효율이 높고 멀티패스(Multipath)에 의한 심벌 간 간섭에 강한 특성이 있어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802.11 Wireless LAN, DMB, PLC, xDSL, 4G 이동통신, 와이브로 등 많은 분야의 핵심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4.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

  > FTP는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FTP를 이용하여 파일의 전송(업로드)과 수신(다운로드), 삭제, 이름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5. 다중 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

  > 신호를 전달하는 전파가 통로상의 여러 가지 장애물에 의해 두 개 이상의 경로를 통하여 수신 측에 도달하는 경우, 그 합성 신호가 시공간적으로 강도가 변하는 현상이다. 전자파가 진행하는 경로에 여러 가지 장애물이 있을 경우 반사가 일어나고 반사파는 반사되는 경로에 따라 진폭과 위상이 달라진다.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 수신기는 직접파와 반사파 또는 반사파만으로 구성된 복합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수신 방해를 받는다. 다중 경로 페이딩 방지책으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이나 다이버시티, 이퀄라이저 기술 등이 이용되고 있다.


6. NDN(Named Data Networking)

  >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수행하는 기술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패킷의 헤더에 내장되어 있는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되던 기존의 IP(Internet Protocol) 망을 대체할 새로운 인터넷 아키텍처로 떠오르고 있다.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CN; Content Centric Networking)와 같은 개념이며, 해시 테이블(Hash Table)에 기반을 두는 P2P(Peer-to-Peer) 시스템과 같이 콘텐츠에 담겨 있는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목적지를 확정


7. 원격 검침(AMR; Automatic Meter Reading,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 전기, 가스, 수도 계량기 등을 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에서 단말기를 이용해 검침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전화선이나 전력선 또는 무선주파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수집하며,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계해 고지서 발급은 물론 수요 패턴까지 파악할 수 있다.


8. NGN(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통신망)

  > ITU-T에서 개발하고 있는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이다. 유선 접속망 뿐만 아니라 이동 사용자 지원까지를 목표로 하며, 이동통신에서 제공하는 완전한 이동성(Full Mobility) 제공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NGN의 배경 개념은 하나의 망이 인터넷상에서와 같이 모든 정보와 서비스(음성, 데이터, 비디오와 같은 모든 형식의 미디어)를 패킷으로 압축하여 전송한다는 것이다. NGN은 흔히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구축되므로 때때로 all-IP라는 용어 또한 NGN을 향한 변화를 기술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9. GLONASS(글로나스)

  > 미국의 GPS, 유럽의 갈릴레오 위치결정 시스템과 유사한 러시아의 전파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미국의 상업 및 군사용 GPS는 CDMA 방식으로 사용하지만 GLONASS는 FDMA 방식을 사용한다.


10. MICS(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 WBAN의 의료분야에서 임플란트 장치 간 통신 서비스를 부르는 명칭이다. 인체 내 통신으로 감쇄가 적은 주파수 사용이 필요하여 402~405MHZ를 사용하고, 대역폭은 300KHZ로 적어 가용 비트레이트도 적다. 그리고 타 통신에 혼선을 피하기 위해 출력은 EIRP 기준 25uW 이하로 정하고 있다.


11.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로 네트워킹을 가상화 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이다. SDN 기술은 네트워크 비용 및 복잡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되어 기존 네트워킹 기술의 폐쇄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방형으로 변화시키는 미래 인터넷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떠오르는 미래기술이 뭐이리 많아


12.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고주파(HF)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다. Ecma 340, ISO/IEC 18092 표준으로,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RFID 기술의 일종이다. 13.56MHz 주파수를 이용해 10cm 안에서 최고 424K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모바일 기기에서 결제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 통제, 잠금장치 따위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13. SSID(Service Set IDentifier, 서비스 세트 식별자)

  >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헤더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자이다. 무선 랜 클라이언트가 BSS에 접속할 때 각 무선 랜을 다른 무선 랜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14.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 QoS란 서비스의 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네트워크에서 일정 기준 이하의 지연시간이나 데이터 손실률 등을 보증하기 위한 서비스 규격이다.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류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트래픽을 먼저 전송하게 된다. 화상 회의, 영상 전화, 동영상 전송 등 실시간 프로그램은 QoS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대역폭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5. MODEM(모뎀)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Modulation) 과정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Demodulation) 과정을 수행하는 신호변환장치이다.


16. TEIN(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트랜스 유라시아 네트워크)

  >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이다. 아시아와 유럽의 주요 연구-교육망을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전자상거래를 포함한 정보 통신 기술, 생명 공학, 신소재 같은 첨단 분야를 공동 연구하고, 관련 기술을 상용망에 적용해 두 대륙 국가들의 경제 발전과 교류를 이루는 데 목적이 있다.


17. Telepresence(원격 현장감)

  >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 또는 가상의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통신 회선으로 컴퓨터를 원격지와 연결하여 구성한 가상현실 공간을 통해 신체적으로 가 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우주 공간이나 깊은 바다 속과 같이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한 장소에서 경험하거나 행동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18. Carrier Aggregation(반송파 묶음)

  >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Bandwidth) 확장 기술로, LTEAdvanced의 핵심 기술이다.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가지는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라고 정의하는데, LTE-Advanced에서는 이러한 요소 반송파들을 최대 5개까지 묶어서 100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요소 반송파로 묶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연속적일 수도 있고, 불연속적일 수도 있다.


19. 네트워크 준비 지수(NRI; Networked Readiness Index)

  > 세계 경제 포럼(WEF)이 국제적인 경영대학인 인시아드(INSEAD)와 공동으로 개인과 정부, 기업의 정보 통신 기술(ICT) 발전도와 경쟁력을 국가별로 평가한 지수이다. 국가별로 ICT의 제반 환경과 개인기업정부의 각 분야별 ICT 발전을 위한 준비와 활용 수준을 측정한다. 지표는 시장 여건과 규제 같은 ICT를 위한 제반 환경(Environment), ICT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준비도(Readiness), 최신 ICT의 실제 활용도(Usage)인 3개 부문 총 70개로 구성되어 있다.


20.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

  > MAN은 LAN과 WAN의 중간형태로 LAN의 기능을 충분히 수용하면서 조시 전역 또는 도시와 도시 등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한 도시 내의 네트워크들을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21.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 VOD는 다양한 정보의 DB를 구축하여 연결된 컴퓨터 또는 TV를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VOD 단말기를 가입자 선로를 통해 각 전화국으로 연결하고 여기서 다시 인공위성으로 연결함으로써 수신할 수 있다. 원하는 때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화형 TV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도중에 일시 정지시키거나 느린 속도로, 혹은 반복 가능


22. SYN(SYNchronous idle, 동기 상태 부호)

  > 동기 신호 방식에서 다른 문자를 보내지 않는 유휴(Idle) 상태에서 데이터 단말 상호 간의 동기를 취하거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전송 제어 문자이다.


23.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TCP/IP는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인트라넷이나 엑스트라넷과 같은 사설망에서도 사용된다. TCP/IP는 망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남아 있는 망으로 통신이 가능한 신뢰성 있는 통신 규약이다.


24. 프로토콜(Protocol)

  >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들 간 정보 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표준화된 통신 규약이다.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협정으로 TCP/IP가 대표적이며, 다양한 레벨을 갖는다.


25. UWB(Ultra WideBand, 초 광대역)

  > 초광대역은 짧은 거리에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낮은 전력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기술로, 무선 디지털 펄스라고도 하며, 블루투스와 비교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0.5m/W 정도의 저전력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70m의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땅 속이나 벽면 뒤로도 전송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지진 등 재해가 일어났을 때 전파 탐지기 기능으로 인명 구조를 할 수 있는 등 응용 범위도 광범위하다. 1950년대 미국 국방부가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했으나, 미 연방통신위원회가 2002년 이 기술의 상업적 용도를 승인한 이후 여러 업체에서 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 상용화가 빨라지고 있다.


26. 피코넷(PICONET)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 간 사전에 네트워크의 정의와 계획 없이 상황에 따라 조정 프로토콜에 의해 마스터와 슬레이브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주로 수십 미터 이내의 좁은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과 정지 또는 이동 중에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ICONET은 WLAN과 달리 전송을 위한 기반 구조가 미리 설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기기들 간 조정 프로토콜에 의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27. 디지털 우편소인(DPM; Digital PostMark)

  > 만국 우편 연합(UPU)에서 표준화한 온라인 자료에 의한 전자적 우편 배달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EPCM(Electronic Postal Certification Mark)이라고 부른다. 소인이란 우표에 특정 표식의 도장을 찍어 재사용을 방지하고 우편이 효력을 가진 일자와 시간을 표시한 것을 말하며, DPM은 그 내용을 전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28.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비동기식 3세대 이동 통신의 하향 링크에서 10Mbps 수준의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 규격이다. 인터넷 통신은 주로 다운로드가 많아 하향 링크의 고속화가 서비스의 필수 요소이며, 고속 데이터는 주로 정지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이러한 조건을 최대한 수용하도록 하향 링크의 전송 규격을 개선한 것으로 WCDMA R5에 적용되었다. 기본 개념은 각종 물리 링크나 MAC 링크 기능을 기지국에서 수행토록 하며, 단말기가 기지국에 가깝거나 정지 상태에서는 오버헤드를 줄여 처리 속도를 높인 것으로, 적응형 변복조 및 부호화 방식(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하이브리드ARQ, 송수신다중다이버시티(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고속 패킷 스케줄링 등의 기술이 적용되었다.

  > HSDPA는 상향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거쳐 HSOP(High Speed OFDM Packet Access)로 진화할 예정이다. HSUPA는 HSDPA에 도입한 기술을 사용해 업링크 성능을 5.76Mbps로 향상시킨 WCDMA R6이며 HSOPA는 4G 이동 통신 기술인 직교 주파수 다중 분할 접속(OFDMA)과 다중 입출력 안테나(MIMO)를 적용해 전송 속도를 HSDPA보다 10배 이상 향상시킨 Beyond 3G 기술이다. Hsupa가 상용화되면 휴대폰을 이용한 개인 방송이나 다자간 화상 통화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해진다.


29. u-Health(ubiquitous-Health, 유헬스)

  > 물리적 공간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첨단 보건의료 기술의 전자적 공간을 연결하여 보건 의료 대상자의 삶과 진료가 중심이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건의료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정보의 디지털화, 통신의 광대역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대용량의 정보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게 되었으며, 멀티미디어 처리 및 저장 기술의 발전, RFID를 비롯한 각종 유비쿼터스 환경의 등장으로 u-Health의 현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30. 디저라티(Digerati)

  > Digital과 Literati의 합성어로 컴퓨터, 정보통신 등 디지털 분야의 지식이 많은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디지털 사회에서 정보 통신 산업을 이끌어 가는 사람을 말한다.


31.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 웨어러블 또는 몸에 심는(Implant)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이다. 무선 센서나 기기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휴대폰 또는 간이역 기지국(Base Station)을 통하여 병원이나 기타의 필요한 곳에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uHealth 등의 서비스를 받는데 응용할 수 있다. 현재 IEEE 802.15.6에 Working Group이 구성되어 서비스 모델과 요구사항 등을 정의하고 있고, 이를 완성한 후에 이에 대한 표준을 진행할 예정이다.


32. CTTH(Coax To The Home)

  > 기존 케이블방송망으로 초고속/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송 방식이다. 총 1Gbps 용량을 여러 가입자가 공유하는 구조로 일반 가정에 130Mbps의 빠른 인터넷 속도를 제공한다. 트래픽이 집중되는 광동축케이블(HFC) 구간에서도 다중 멀티플렉싱으로 병목현상을 해소해 고품질 IPTV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케이블 업계가 활용하는 닥시스(DOCSIS)나 ETTH(Ethernet To The Home) 방식보다 장비 설치비도 저렴하다.


33. 포스트넷(PostNet)

  > IT 기반 우편물류 통합 정보시스템이다. 우체국 택배와 국제 특송(EMS)을 강화하기 위해 우편물에 RFID 칩을 달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그 우편물의 위치를 체크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34. 지그비(ZigBee)

  >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이다.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및 홈보안 시스템 VCR on/off 등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것에서 부터 출발한 기술이다.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250Kbps이다.


35. 디지털 접근 지수(Digital Access Index)

  > 정보통신기술(ICT)의 접근성과 서비스 이용에 관한 전 세계적 비교 지수이다. 각국의 정보통신망 및 기기의 보급, 그리고 서비스 이용에 관한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결정되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2003년에 처음 발표


36. 차량 멀티홉 통신(VMC; Vehicle Multihop Communication)

  > 자동차에 IT기술을 접목해 차량 충돌을 예방하는 기술이다. 자동차와 노면 간 RF(라디오 주파수) 통신을 주고 받아 제한속도를 넘어서면 자동으로 차량 속도가 감속되는 것은 물론, 차량 간 통신으로 충돌을 예방하는 기술이다.


37.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 LAN은 자원 공유를 목적으로 회사, 학교, 연구소 등의 구내에서 사용하는 통신망으로서, 직원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된 통신망이다. 전송 거리가 짧아 고속 전송이 가능하며, 에러 발생률이 낮다.


38. 망중립성(Network Neutrality)

  >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이다. 망운영의 근본적인 원칙으로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차별, 상호접속, 접근성 등 3가지 원칙이 모든 통신망에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언급되어 유럽연합(EU)이 정보사회 보고서에서 망규제는 상호접속 및 상호 운용성을 요구한다.


39.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

  > GIS는 지리적으로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으로, 위성을 이용해 모든 사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지도에서 사물을 확인하는 단계를 벗어나 인터넷, 인공위성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지리 데이터를 수집, 구축, 분석, 처리 과정을 거쳐 고품질의 공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나은 공간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자신의 위치와 목적지를 지정하여 최단 거리를 찾을 수도 있다.


40. IT839(u-IT839) 전략

  > IT839전략은 미래의 정보 기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하여 정보통신부가 2004년 2월 수립한 IT 성장 전략을 말한다. 이는 유비쿼터스 코리아를 추진하기 위한 운동으로, 향후 IT 산업의 핵심이 될 IT 8대 서비스, 3대 인프라, 9대 성장 동력을 함께 묶어 부르는 명칭

- 8대 서비스 : HSDPA/W-CDMA, WiBro, 광대역 융함 서비스, DMB/DTV서비스, u-HOME 서비스, 텔레매틱스/위치기반서비스, RFID/USN 활용 서비스, IT 서비스

- 3대 인프라 : BcN, USN, 소프트 인프라웨어

- 9대 성장 동력 : 이동통신/텔레매틱스 기기, 광대역/홈 네트워크 기기, 디지털 TV/방송 기기, 차세대 컴퓨팅/주변기기, 지능형 로봇, RFID/USN 기기, IT SoC/융합부품, 임베디드 SW, 디지털콘텐츠/SW솔루션


41.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 USN은 각종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즉, 필요한 모든 것(곳)에 RFID 태그를 부탁하고, 이를 통하여 사물의 인식 정보는 물론 주변의 환경정보까지 탐지하여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한 취약지구에 수백개의 센서 네트워크 노드를 설치하여 사람이 감시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역할을 한다.


42. 래드섹(RadSec) 프로토콜

  > RADIUS(Remote Authetication Dial In User Service) 데이터를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나 전송계층 보안(TLS)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래드섹은 RADIUS over TLS의 준말로, RADIUS는 이용자가 접속을 요구할 때 이용자의 ID나 암호와 같은 정보를 서버로 보내어 식별하고 인증을 수행한다. 하지만 기존의 RADIUS가 보안이 취약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에 의존한다는 점과 패킷 적재 부분에서의 보안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래드섹이 등장하였다. 래드섹은 보안성이 높은 TCP나 TLS를 사용하고, 이용자와 서버 간의 인증서 교환 등을 통한 상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43.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

  > 장비에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등장한 저장장치이다.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하나의 데이터 서버에 연결하여 관리하는 네트워크이다.


44.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망 부착 저장장치)

  >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들에게 파일 기반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 서버와는 다르게, 완전한 형태의 운영체제는 사용하지 않고 최소한의 기능만을 탑재한 운영체제를 사용한다.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고 구축이 저렴하기 때문에 소규모 파일 공유 환경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45. SON(Self Organizing Network, 자동 구성 네트워크)

  > 주변 상황에 맞추어 스스로 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통신망 커버리지 및 전송 용량 확장의 경제성 문제를 해결하고, 망의 운영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갑작스러운 사용자의 증가나 감소 시에는 자동으로 주변 셀과의 협력을 통해 셀 용량을 변화시키며,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자체적인 치유도 가능하다.



2. 인터넷


1. WebKit(웹키트)

  > 웹 브라우저를 만드는 데 기반을 제공하는 레이아웃 엔진이다. 원래 맥 오에스 텐(Mac OS X)의 사파리 웹 브라우저 엔진으로 사용하기 위해 컨커러 브라우저의 KHTML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에서 가져온 것이였으나 최근에는 애플의 사파리와 구글 크롬은 물론 림의 블랙베리에서도 브라우저의 엔진으로 사용되고 있다.


2. Mashup(매시업)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이다. 즉 다수의 정보원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app을 말한다. 구글 지도에 부동산 매물 정보를 결합한 구글의 하우징맵스가 대표적이다.


3.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는 인터넷 프로토콜 상 음성 전송이란 의미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 폰에 이용하는 것으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서비스 기술이다. VoIP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성도 뛰어나며 기존 전화에 비해 요금도 훨씬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4.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URL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각종 자원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이다. 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접속할 홈페이지 파일의 URL을 입력하는 것이다.


5. 쿠키(Cookie)

  > 쿠키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특별한 텍스트 파일로서,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특정 웹 사이트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쿠키를 이용하면 인터넷 접속 시 매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로그인 되게 할 수 있다.


6. IMS(IP Multimedia Subsystem)

  >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이다. 기본적으로 범용의 인터넷 기반 기술과 표준화된 네트워크 기능들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가격 경쟁력 향상과 신속한 서비스 개발 및 변경을 추구한다. 액세스 네트워크와는 독립적이며, 세션 관리 기능의 개선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app들이 손쉽게 연동되어 서비스 간 글로벌 연동과 유무선망의 컨버전을 촉진시킨다. 초기 All-IP망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 접속망에서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상호 연동과 컨버전을 위하여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이동 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IP망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유무선 통합망을 지원하는 기술로 확대되고 있다.


7. 멀티캐스트(Multicast)

  > 구내 정보 통신망(LAN)이나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일부 사용자 내에서 한 사람이 몇 사람에게 정보를 송신하고 그것을 수신한 몇 사람이 같은 내용을 버킷 릴레이(Bucket Relay)식으로 복수의 사람에게 송신함으로써 정보를 전파하는 특정 다수인에 대한 전송이다. 특정의 1인에게 송신하는 유니캐스트나 불특정 다수인에게 정보를 송신하는 방송(Broadcast)과는 달리 특정의 다수 단말에만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멀티캐스트이다.


8. 비트코인(Bitcoin)

  > 온라인에서 사용되는 가상의 디지털 화폐로, 2009년에 만들어졌으나 개발자는 분명치 않다. 비트코인이 들어있는 계좌를 지갑이라고 부르는데 사용자들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지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뱅킹으로 계좌이체 하듯 비트코인을 주고받는다. 유럽, 북미, 중국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3년4월 코빗이라는 거래소가 등장했다.


9.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 HTML 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페이지 제작 기술이다. 다양한 컴포넌트가 추가된 플래시와 플렉스 같은 멀티미디어 도구와 DB가 연동되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존의 웹에서는 볼 수 없던 다이나믹하고 편리한 고객 중심의 웹페이지가 제공된다. 2001년 매크로 미디어사가 플래시 MX 저작툴을 통해 처음 선보인 이후 쇼핑몰이나 대고객 웹서비스, 포탈 등을 중심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원래 RIA는 웹앱의 일종으로 통상 데스크톱 응용의 기능과 특징을 유사하게 갖는 형태를 말한다. MS의 원격 스크립팅, SUN의 자바, 매크로미디어의 X-인터넷, AJAX 등도 RIA로 통칭된다.


10.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ISP는 개인이나 회사들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사이트 구축 및 웹 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들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ISP는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장비와 통신회선을 갖추고 있으며, 대형 ISP들은 전화망 사업자에 비해 덜 의존적이면서도 자신들의 고객들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기 고유의 고속 전용 리스 회선을 갖추기도 한다.


11. 해시태그(HashTag)

  > #와 특정 단어(들)을 붙여 쓴 것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에서 특정 핵심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의 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브라질 월드컵 축구를 검색어로 하려면 #브라질월드컵축구로 표기한다.


12.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주는 기술로, 혼합현실(MR)이라고도 부른다. 증강현실은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감성적 측면에서의 만족도도 대단히 높기 때문에 방송은 물론 게임, 교육, 오락,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스포츠 중계 시 등장하는 선수가 소속된 국가나 선수의 정보를 보여주거나 화장한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보고, 옷도 가상으로 입어보고 구매할 수 있다. 모바일 분야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LBS) 분야에서 이용이 활발하다. 스마트폰으로 거리를 비추면 커피숍이나 약국 등의 정보가 화면에 부가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그 예이다.


13. CNAME(Canonical NAME)

  > 호스트 컴퓨터는 웹 접속을 위해 하나의 IP 주소를 가져야 하는데, 이 IP 주소는 DNS가 호스트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변환하여 생성한다. 그러나 종종 여러 개의 도메인 이름을 동일한 하나의 IP 주소로 변환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CNAME이라고 한다. CNAME은 하나의 IP 주소에서 여러 개의 서버를 운영할 때 유용하다.


14. HVC(High Performance Video Coding, 고성능 영상 코딩)

  > ISO/IEC JtC1 MPEG에서 AVC(Advanced Video Coding) 이후의 표준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이다. HD 이상의 해상도를 주 대상으로 하는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으로 고성능의 압축 효율은 물론 이동성을 보장한다. 화질은 QVGA에서 8KX4K를 지원하고, 컬러 스페이스(Color space)도 YUV가 4:4:4, 픽셀 당 비트 수가 14Bit, 프레임 레이트는 172fps까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송을 고려한 SVC와 이동망에서의 에러 강인성을 제공한다.


15. Trackback(트랙백)

  >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그 글에 직접 댓글을 올리는 대신에 내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내 글의 일정 부분이 다른 사람의 댓글로 보이도록 트랙백 핑을 보내는 것을 말한다.


16. Webaholism(웨바홀리즘)

  > Web과 Alcoholism의 합성어로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느낄 정도로 지나치게 인터넷에 몰두하고,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인터넷 중독증, 또는 인터넷 의존증이라고도 한다.


17.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Physical World)와 가상 세계(Virtual World)의 다양한 사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시설이다.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겨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에 지능 통신을 할 수 있는 M2M(Machine to Machine)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 하는 개념으로 진화했다. 사물 인터넷의 주요 기술로는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사물 인터넷 인터페이스 기술, 사물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기술 등이 있다.


18.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맞춤형 정보 배달)

  > RSS는 매우 간편한 정보 배달 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업데이트가 잦은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의 표준이다. RSS 주소를 전용 리더 프로그램에 등록해 두면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전자 우편을 열어보듯 쉽게 업데이트 내용을 읽어볼 수 있게 해준다. RSS서비스가 주로 적용되는 곳은 블로그, 뉴스, 쇼핑, 날씨 등 콘텐츠가 자주 업데이트 되는 사이트들이다.


19. M2M(Machine to Machine, 사물 통신)

  >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이다. 변압기 원격 감시, 전기, 가스 등의 원격 검침, 무선신용 카드 조회기, 무선 보안 단말기, 버스 운행 시스템, 위치 추적 시스템, 시설물 관리 등 무선으로 통합하여 상호 작용하는 통신이며,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GSM, 무선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한다.


20. 도메인 네임(Domain Name)

  > 도메인 네임은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 이름, 소속 기관 이름, 소속 기관의 종류, 소속 국가명 순으로 구성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 수록 상위 도메인을 의미한다. 컴퓨터가 도메인 네임을 바로 인식할 수 없으므로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DNS(Domain Name System)가 사용된다.


21.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 상에서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나 규약을 말한다. 인터넷 상에서 호스트로 알려진 각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모든 컴퓨터들로부터 이 컴퓨터를 유일하게 구별하는 것이다.


22.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

  > 검색 엔진에서 검색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방법으로는 자신의 사이트를 대표할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로 사이트를 등록하고, 배너 교환이나 여러 사이트에 추천 사이트로 등록해 두면, 자연스럽게 이용자가 많아지고 이로 인해 사이트의 순위도 올라가게 된다.


23. 위키피디아(Wikipedia)

  > 전 세계 사람들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고 함께 만들어 가는 웹 기반의 백과사전이다. 2001년 부터 비영리 단체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누구에게나 열어 두고 운영하기에 누구나 편집을 눌러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모든 정보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


24. 프로튜어(Pro-teur; Professional amateur)

  > 프로페셔널과 아마추어의 합성어로 전문가 같은 아마추어를 말한다. 웹 2.0이 일반화되며 일반 네티즌이 정보의 수요자가 아닌 공급 주체로 떠오르며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전문가 못지않은 식견을 가진 사람을 지칭


25.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IPv6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고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IP 주소 체계의 차세대 버전이다. IPv6은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며 콜론으로 구분한다.


26. 애니캐스트(Anycast)

  > IPv6에서 한 송신자와 인근에 있는 소수 수신자 간의 통신이다. 특정 다수에게 전송하는 멀티캐스트나 특정인에게 전송하는 유니 캐스트와 구분된다. 애니캐스트는 수신자들을 묶어 하나의 그룹으로 나타낸 주소를 사용하여 그룹 내에서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게만 전송하는 것으로, 한 호스트는 그룹 내의 호스트들을 위한 라우터 테이블을 현행화하고, 가장 가까운 호스트로 선택되면 마치 유니캐스트 처럼 패킷을 전송받아 그 그룹 내 다른 호스트와 애니캐스트 통신ㄱ


27. 유니캐스트(Unicast)

  > 메시지의 수신 주소를 1개만 지정하는 1:1 통신 형태이며, 네트워크 내 모든 주소에 동일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브로드캐스트, 지정한 복수의 수신 주소에 동일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멀티캐스트라 한다. IP 주소의 클래스 A, 클래스 B, 및 클래스 C는 유니캐스트의 주소이다.


28. Semantic Web(시맨틱 웹)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이다. 예를 들면, 휴가 계획을 짜기 위하여 웹상에 있는 여행 정보를 일일이 직접 찾아서 비행기와 호텔을 예약하는 대신 자동화된 프로그램에 대략적 휴가 일정과 개인의 선호도만을 알려주면 자료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웹상의 정보를 해독하여 손쉽게 세부 일정과 여행에 필요한 예약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Semantic Web을 구성하는 핵심기술로는 웹 자원(Resource)을 서술하기 위한 자원 서술 기술, 온톨로지(Ontology)를 통한 지식 서술 기술,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에이전트(Agent) 기술들을 들 수 있다.


29. 메타 데이터(Meta Data)

  >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이다. 컴퓨터에서는 데이터 사전의 내용, 스키마 등을 의미하고, HTML 문서에서는 메타 태그 내의 내용이 메타 데이터이다. 방송에서는 방대한 분량의 저작물을 신속하게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 촬영 일시, 장소, 작가, 출연자 등과 음원의 검색을 위한 작곡자나 가수명 등을 메타 데이터로 처리한다. 메타 데이터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나 주로 빠른 검색과 내용을 간략하고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30.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 다수의 개체가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이다.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다양한 의견을 가진 개인의 지식이 모이면 개별적으로는 미미하게 보이나 집단적으로는 능력 범위를 넘어선 힘을 발휘해 특정 전문가나 기업의 전문 지식 보다 더 우수하게 된다는 대중의 지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웹2.0의 주요내용


31.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성 마크업 언어)

  > XML은 W3C가 채택한 차세대 인터넷 표준 언어로, HTML의 문법이 각 웹 브라우저에서 상호 호환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와 SGML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됐다. 웹 문서에 쉽게 응용할 수 있도록 SGML의 특정 부분을 사용하였고, 사용자가 직접 문서의 내용에 관련된 태그를 정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태그를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도 있다.


32. 웹 서비스 기술 언어(WSDL; 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

  >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 위한 언어로, SOAP 툴킷에 웹 서비스를 기술하기 위해 개발됨. 웹 서비스가 확장성 생성 언어(XML)를 기반으로 하여 표현되고 웹 서비스 기술 언어로 정의되면, UDDI(Universal De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에 의해 서비스 저장소에 등록된다. 이후 등록된 서비스는 웹에 접속하는 누구라도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다. 웹 서비스는 웹 서비스 기술 언어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소나 서비스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등의 구체적인 내용이 기술된다.


33. Alt-Text(대체 텍스트)

  > 시각 장애인이 웹 사이트에 게시된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글이나 문구이다. Alt-Text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 중에서 글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는 시각 장애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로 표시되어야 한다.


34.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기본 요소로서 정지영상, 음악, 음성 및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이다. 2세대의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의 뒤를 이은 MMS는 기존의 미디어 형식의 메시지와 멀티미디어 형식의 메시지를 모두 제공한다.


35. 블로그(BLOG)

  > 웹과 로그의 합성어로, 개인이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웹 사이트를 말한다. 게시판 형식의 사이트에 일반인이 자신의 일상적인 일기에서부터 사회적 관심의 칼럼, 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리며, 개인 출판, 개인 방송, 커뮤니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1인 미디어이다.


36. IP TV(Internet Protocol TV)

  > IP TV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TV로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를 말한다. 인터넷과 TV의 융합으로, 기존의 인터넷 TV와 다른 점이라면 컴퓨터 모니터 대신 TV 수상기를 이용하고, 마우스 대신 리모컨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TV를 보면서 상품을 주문결제하고 메일 확인, 문자메시지 전송, 금융 및 주식거래, 메신저 등 컴퓨터를 통해서만 가능했던 대부분의 서비스를 TV 수상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37. WWW(World Wide Web, 월드 와이드 웹)

  > WWW는 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거미줄처럼 연결해 놓은 종합정보 서비스이다. WWW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으로 되어 있으며, WWW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라고 한다.


38.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

  > 컴퓨터, 인터넷, 휴대폰 등의 디지털 기술을 어려서부터 사용하며 성장한 세대. 컴퓨터나 인터넷 등을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로 생각하지 않고 그냥 손에 익은 장치 정도로 여기며 쉽게 활용


39. UCC 가이드라인

  > 정부가 제정한 건전한 UCC 생산과 유통 및 이용에 관한 지침서이다. UCC 이용자들을 위한 실천적 가이드라인으로 UCC 이용자의 자율적인 윤리의식을 촉구하는 10대 행동원칙과 저작권, 명예훼손 등과 관련한 법률가이드, UCC 제작 및 이용에 있어 점검해야 할 사항을 명시한 체크리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40. 관계기술(Relation Technology)

  >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을 말한다. 기술위주로 발전하는 정보기술(IT)에 나와 너 사람과 사람 등 문화 인문학 등의 논리위주의 관계기술이 접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어령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만들어 낸 신조어다. 웹2.0이 독자 참여형이고 개방형을 의미한다고 할 때 이를 이끌어가는 논리의 주축은 RT가 되며 RT에서는 가나다..ABC와 같은 기술적 순서 보다는 사람들의 관심에 따라 무작위로 순서가 정해지는 Folksonomy가 더 큰 의미가 있다. 현재 다수 소비자들의 RT에 의해 탄생된 인터넷 사전이나 블로그는 기존의 그 어느 전문제작자의 제품도 능가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41.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

  > 인터넷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만들어 유통되는 콘텐츠를 지칭. 사용자가 질문하고 또한 사용자가 각종 지식과 경험을 댓글해 주는 포털의 지식검색 서비스나 위키사전 등이 UCC의ㅡ 효시라 할 수 있다. UCC는 텍스트에 이어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멀티미디어로 분야를 확대해왔다. 또 웹2.0에서는 사용자들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창조하고 공유할 수 있어 이 또한 향후 유통되는 콘텐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42. 웹 2.0(Web 2.0)

  > 제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정보 생성에 참여하고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누구나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웹 환경을 말한다. 분산화되고 사용자 중심의 커뮤니티에 의존하는 동적인 열린 공간으로서의 웹이며 또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기존 웹에서는 포털 사이트처럼 서비스 업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수신만하는 형태였으나 웹2.0 환경에서는 제공되는 app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웹2.0의 대표적인 예로서 구글이 제공하는 구글맵API.


43. 태그달기(꼬리표 달기, Tagging)

  > 콘텐츠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검색용 꼬리표인 키워드, 또는 태그를 다는 것을 말한다. 글을 올린 사람이나 사이트 관리자가 글이나 이미지를 관련된 주제나 카테고리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도록 키워드 처리를 해주는 것으로서 주로 블로그나 웹 페이지 상에서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태깅이 된 글이나 콘텐츠의 태그는 태그를 종합 관리하는 사이트에서 주제나 카테고리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어 나열되므로 일반 사용자들은 이를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를 찾아가게 된다.


44. 퀵돔(Quickdom)

  > 영어의 Quick과 Domain이 결합된 합성어로 2단계 영문 kr도메인의 브랜드명이다. 퀵돔은 xxx.kr과 같이 xxx.co.kr과 같은 3단계 형태의 도메인에 비해 짧은 형태의 도메인으로 기억하기도 쉽고 입력하기도 간편


45.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

  > AI, IoT, Big Data 등 최신 디지털 기술들을 활용하여 현대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맞게 기존의 전통 사회를 혁신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말한다. 2011년 발표한 IBM 기업가치 연구소의 보고서에는 디지털 전환을 기업이 디지털과 물리적인 요소들을 통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고, 상업에 새로운 방향을 정립하는 전략이라 정의했다. 세계적 경영 컨설팅 업체 A.T.Kearney는 2016 보고서에서 디지털 전환을 Mobile, Cloud, Big Data, AI, IoT 등 디지털 신기술로 촉발되는 경영 환경상 변화 동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현행 비즈니스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거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통한 신규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활동 이라고 정의했다. 디지털 전환은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산화 과정과 전산화된 정보들을 산업 내에서 기술적으로 활용하는 디지털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대표적 사례로 GE의 산업 인터넷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프레딕스, 모바일 앱으로 매장 주문과 결제를 할 수 있는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 서비스 등이 있다.


46.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

  > DHCP는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조직 내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할당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DHCP는 주어진 IP 주소가 일정 시간 동안만 그 컴퓨터에 유효하도록 하는 임대 개념을 사용하므로,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개수보다 더 많은 컴퓨터가 있는 경우에 IP 주소의 임대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결국 DHCP는 고유IP주소 없이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47. 위키노믹스(Wikinomics)

  > 인터넷 이용자들이 만들어가는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Wikipedia)와 경제학을 의미하는 economics의 합성어로, 소수에 의해 좌지우지 되었던 기존 경제 구조에서 탈피하고 대중의 지혜와 지성이 지배하는 경제를 의미한다. IT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 대중들의 대규모 협업이 가능해지면서 참여, 공유, 개방을 기초로 이와 같은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컴퓨터용 운영체제 리눅스가 있다.


48. 인터넷(Internet)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으로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다.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는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 주소를 갖는다. 미국 국방성 ARPANET에서 시작됐다.


49. 멤스(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 초정밀 반도체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센서, 액추에이터 등 기계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 가공하여 전기기계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실리콘 칩 위에 마이크로 단위의 작은 부품과 이들을 입체적으로 연결하는 마이크로 회로들로 제작되며, 정보기기의 센서나 프린터헤드, HDD 자기 헤드, 기타 환경, 의료 및 군사 용도로 이용된다. 최근 초소형이면서 고도의 복잡한 동작을 하는 마이크로시스템이나 마이크로머신들은 대부분 MEMS


50. 미라캐스트(Miracast)

  > 와이파이 얼라이언스가 발표한 최신 무선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와 같은 모바일 기기가 TV와 직업 Wi-Fi 기반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큰 화면으로 모바일 기기 속의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51. 유닉스(UNIX)

  > 주로 서버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로,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대화식 운영체제이다. 대부분 C언어로 작성되어 있어 이식성이 높으며 장치, 프로세스 간 호환성이 높고 많은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므로 통신망 관리용 운영체제로 적합하다. 유닉스는 커널과 쉘로 구분된다.

- 커널(Kernel) : 유닉스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 인터페이스 역살

- 쉘(Shell) :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로 시스템과 사용자 간 인터페이스를 담당


52. 블루투스(Bluetooth)

  >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무선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표준 기술이다. 핸드폰, PDA, 노트북과 같은 휴대 가능 장치들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복잡한 전선 없이도 낮은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다.



3. 모바일 컴퓨팅


https://dotheright.tistory.com/121#3

4. 기타 신기술 동향


https://dotheright.tistory.com/121#4






맨 위로















Comments